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 트랜드60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과 행동전이(Transfer Learning)의 차이와 활용 - 인공지능 학습 기법 #2 오늘은 지난 글에 이어서 인공지능 학습 기법 2번째 이야기로, 인공지능 학습 방법 중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과 행동전이(Transfer Learning)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과 행동전이(Transfer Learning)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지도학습은 특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가 학습하도록 돕는 방법입니다. 쉽게 말해, 정답을 가르쳐 주는 선생님 같은 역할을 하는 방식입니다.예를 들어, 고양이와 강아지 이미지를 분류하는 AI를 만든다고 가정해 보면, 수천 장의 고양이와 강아지 사진과 각 사진에 대한 정답(라벨)을 AI에게 제공하면, AI는 그 패턴을 학습해 새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습니다.   주요.. 2025. 1. 23.
강화학습과 파인튜닝의 차이와 활용 - 인공지능 학습 기법 #1 오늘은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 학습 기법인 강화학습과 파인튜닝의 개념과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인공지능의 성능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학습방법이 중요하다는 것은 이미 이 분야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알고 계시겠지만, 정확하게 강 확 학습과 파인튜닝이 어떤 차이를 갖고 있는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강화학습과 파인튜닝의 차이와 활용  강화학습강화학습은 말 그대로 '강화'를 통해 '학습'하는 방법입니다. 쉽게 말해,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점점 더 나은 결과를 얻어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죠.예를 들어볼까요? 여러분이 새로운 비디오 게임을 처음 시작했다고 생각해 보세요. 처음에는 어떤 버튼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어떤 전략이 효과적인지 잘 모르겠죠. 하지만 게임을 계속 하다 보면, 어떤 행동을 했을.. 2025. 1. 20.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술이 야기할 수 있는 가짜뉴스 및 허위정보 위험과 완화 방법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 분야의 관심 중 하나는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술에 있습니다. 이는 기존에 학습된 데이터만으로 답변을 생성하던 방식을 넘어, 외부 정보를 통해 보다 풍부하고 정확한 답변을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학습된 데이터만 의존하는 인공지능 보다 최신정보나 학습되지 않았어도 외부 정보를 찾아서 답변을 할 수 있다면 그런 생성형 인공지능이 더 활용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겠죠.   가짜뉴스 및 허위정보와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술이처럼 한층 발전된 AI 기술은 경제·의료·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쓰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이 도입될 때마다 항상 예상치 못한 문제점이 함께 드러나듯이,.. 2025. 1. 15.
교류와 신호 처리. 통신과 의료기기의 교류 응용 사례 #2 이번에는 지난 '교류와 직류' 이야기의 두 번째 글로 신호 처리 기술의 원리와 응용을 소개하며, 특히 무선 통신과 의료 분야에서 이 기술들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통신과 의료기기의 교류 응용 사례교류란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류를 말해요. 우리 집에서 쓰는 전기가 바로 이 교류예요. 반면 신호 처리는 이런 교류나 다른 형태의 신호를 분석하고 변환하는 기술을 뜻합니다.이 두 개념이 만나면 정말 놀라운 일들이 벌어져요. 소리를 전기 신호로 바꿔 멀리 보내고, 우리 몸속 작은 신호를 크게 키워 질병을 진단하는 등 우리 생활 곳곳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죠.     무선 통신에서의 교류 응용무선 통신은 교류와 신호 처리의 대표적인 응용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2025. 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