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 트랜드60 페이스북 Prophet 쉽게 시작하기, 사용법과 Python 설치 방법 - 시계열 예측 기술 #1 미래를 미리 알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오늘 급등주는 무엇일지, 이번 주 로또 번호는 몇번일지 등을 알 수 있다면 나도 부자가 될 수 있겠죠. 이런 것들은 그져 상상만 하는 것들이죠. 이러한 것들을 상상이라 치부하면서도 실제로는 우리는 데이터 예측이라는 것을 하고 있죠. 머신러닝 등에서 실제 사용하는 이론인 시계열 예측이라는 기술 말이죠. 오늘은 이러한 시계열 예측 이론 중 하나인 Prophet에 대해 정리해 보려 합니다. ProphetProphet는 페이스북(지금은 Meta(메타)입니다.)이 2017년에 개발한 오픈소스 시계열 예측 도구예요.이미 이름에서부터 ‘예언자’라는 뜻을 가진 만큼, 시간에 따라 변하는 데이터를 보고 미래를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페이스북은 원래 자사 플랫폼에서 사용자.. 2025. 3. 14. 분산 신원 인증(DID) 개인 정보 보호와 보안을 위한 미래의 디지털 신분증? 오늘은 분산 신원 인증(Decentralized Identity, DID) 기술에 대해 소개합니다. 디지털 세상에서 개인 정보 보호, 보안성, 사용자 주권을 강화하는 DID의 개념을 정리하고, 이 기술의 실생활 적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신원 확인, 우리의 필수품 인터넷으로 물건을 살 때, 은행 앱에 접속할 때, 주식이나 코인을 할 때도 ‘나’라는 걸 증명해야 합니다. 만약 이런 과정이 없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누군가 내 이름을 도용해 돈을 빌리거나, 내 계정을 손쉽게 뚫을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신원 확인은 오늘날 디지털 세상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열쇠 같은 존재입니다. 하지만 지금껏 우리가 써온 기존의 신원 확인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고 해요. 은행이나 정부, 대기업 같은 큰 기.. 2025. 3. 4. GPT vs. Grok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무엇이 다를까? 지난 몇 년 동안 인공지능(AI) 기술은 대단한 속도로 발전하여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 우리의 일상에 매우 깊이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은 자연스럽게 텍스트를 생성하고, 질문에 답변하며, 창작까지 해내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모델로 OpenAI의 GPT가 있죠. 최근에는 일론 머스크가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는 xAI의 Grok이라는 인공지능 모델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개의 모델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GPT vs. Grok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OpenAI의 GPTOpenAI는 2015년 인공지능 기술 발전을 목표로 설립되었습니다. OpenAI의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시리즈.. 2025. 2. 19. DeepSeek-R1에 대해 #1 : 대형 언어 모델의 추론 능력을 강화하는 강화학습 기법 리뷰 오늘은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 시장에 파란을 일으킨 딥씨크(DeepSeek)와 관련한 내용 중 가장 최근 릴리즈된 DeepSeek-R1 모델의 논문의 내용을 요약해 보겠습니다. 대형 언어 모델의 추론 능력을 강화하는 강화학습 기법 리뷰 - DeepSeek-R1DeepSeek 홈페이지에서 공개된 DeepSeek-R1 관련한 paper인 "DeepSeek-R1: Incentivizing Reasoning Capability in LLMs via Reinforcement Learning"을 분석한 후, 핵심 내용을 요약해 보겠습니다.그전에, 개인적인 판단으로 이 논문은 어떤 공식적인 학회에서 발표된 논문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때문에 딥씨크 자체적인 paper로 생각하고 내용을 요약했음을 밝힙니다. .. 2025. 2. 10. 이전 1 2 3 4 5 6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