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규제 결정부터 연방준비제도(Fed)의 발언, 대통령 선거 결과까지, 미국 정부의 규제와 대통령 선거가 비트코인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요?
규제와 대통령 선거가 비트코인 가격에 미친 영향
미국 정부는 암호화폐 시장의 성장 속도에 비례해 점점 더 깊은 관심을 보이며 개입해 왔습니다. 그 중심에는 SEC, 연준, 재무부 같은 기관들이 있습니다. 이들이 내린 결정과 발언은 비트코인 가격에 즉각적인 파문을 일으키곤 했죠.
2017년 3월, SEC가 윙클보스 형제의 비트코인 ETF 신청을 거부했을 때를 기억하시나요? 당시 비트코인 가격은 하루 만에 22%나 폭락하며 투자자들을 혼란에 빠뜨렸습니다. SEC는 “시장 조작 우려와 규제 부족”을 이유로 들었고, 이후 몇 년간 비슷한 이유로 현물 ETF 승인을 계속 미뤘습니다. 반면 2021년 10월, 최초의 비트코인 선물 ETF가 승인되자 시장은 환호하며 비트코인이 한 달 만에 69,000달러까지 치솟았습니다. 이처럼 SEC의 결정 하나가 비트코인 수요와 투자 심리를 좌우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정부의 개입은 규제기관에만 국한되지 않았습니다. 2021년 초 재닛 옐런 재무장관 지명자가 “암호화폐가 불법 자금에 악용된다”며 규제 필요성을 언급하자, 비트코인은 며칠간 10% 넘게 하락했습니다. 반대로 2022년 바이든 대통령이 디지털 자산 연구를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을 때는 “규제보다는 제도권 편입”이라는 기대감에 가격이 9%나 뛰었습니다. 이런 사례들은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 시장에 얼마나 큰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규제 강화를 예고하면 투자자들은 겁을 먹고, 긍정적 신호를 주면 시장은 열광합니다. 비트코인은 자유를 표방하지만, 현실에서는 워싱턴의 손길을 피할 수 없는 셈이죠.
정치 이벤트와 비트코인 가격의 상관관계
정치적 사건도 비트코인 가격에 적잖은 영향을 끼칩니다. 특히 미국 대통령 선거는 전 세계 금융시장뿐 아니라 암호화폐 시장에도 파장을 일으키는 대형 이벤트죠.
2016년 트럼프의 당선을 떠올려 보면, 당시 전통 금융시장이 요동치자 비트코인은 불확실성 속에서 4% 상승하며 안전자산으로 주목받았습니다. 금값이 뛴 것과 비슷한 맥락이었죠. 2020년 대선 때는 결과 지연으로 혼란이 커졌지만, 대규모 부양책 기대감이 겹치며 비트코인이 연말까지 두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은 투자자들에게 비트코인을 ‘헤지’ 수단으로 보게 만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권의 성향도 중요합니다. 트럼프는 2019년 “비트코인 팬이 아니다”라고 밝혔지만, 그의 행정부는 과도한 규제보다는 시장 관망에 가까운 태도를 보였습니다. 반면 바이든 행정부는 초기 경계심을 드러내다가 점차 규제 틀 안에서 암호화폐를 다듬으려 했죠. 공화당은 대체로 규제 완화를, 민주당은 투자자 보호를 강조하며 다른 목소리를 냈습니다. 특히 2024년 트럼프의 재집권 가능성이 대두되자 “친암호화폐 정책” 기대감에 비트코인이 2025년 초 109,000달러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정치판이 바뀌면 정책도 바뀌고, 이는 비트코인 투자자들의 기대와 불안으로 이어지는 셈입니다.
비트코인 가격 조작 가능성
비트코인 시장에는 늘 “누군가 가격을 조작한다”는 의심이 떠돕니다. 초창기 비트코인은 소수의 ‘고래’ 투자자가 시장을 쥐락펴락할 수 있었습니다.
2017년 급등장 때 학자들은 테더(USDT)라는 스테이블코인이 비트코인 가격을 띄우는 데 쓰였다는 연구를 내놨습니다. 단 1%의 거래 시간 동안 테더가 집중 투입되며 상승분의 절반을 만들어냈다는 주장이었죠. 당시에는 시장 규모가 작아 이런 조작이 가능했을 겁니다. 고래들이 거래소에 대량 매도 주문을 걸어 공포를 조성하거나, 반대로 매수벽을 쌓아 가격을 끌어올리는 수법도 흔히 거론됩니다.
최근에는 기관 투자자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1년 테슬라가 15억 달러어치 비트코인을 사들였을 때 가격이 10% 넘게 뛴 사례나, 블랙록의 ETF 신청 소식에 20% 상승한 경우를 보면 기관의 영향력이 커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이 커지고 투명해지면서 조작 가능성은 줄어드는 중이라고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고래 투자자들의 대규모 거래나 특정 기관의 영향력은 여전히 시장 변동성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코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전자 주가에 대한 개인적인 분석과 의견 #1 - LG전자는 뭐가 문제인가? (0) | 2025.02.25 |
---|---|
트럼프의 재선 확정과 경제 정책이 금융시장과 비트코인에 미치는 영향 (0) | 2024.11.12 |
미국 CPI 하락과 기술주 폭락 그리고, 순환매와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 (0) | 2024.07.15 |
텅스텐과 인공지능 AI 산업의 관계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육불화텅스텐(WF6)의 역할 (0) | 2024.07.08 |
공매도 이해하기 - 사례와 최신 트렌드 분석 #28 (0) | 2024.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