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4년 최신! 주휴수당 계산기 사용법과 주요 변경 사항 #21

by 마오양 2024. 4. 25.
반응형

2024년이 시작된 지도 벌써 4개월이나 지났습니다. 이미 지난 1월부터 시행된 주휴수당 관련 새롭게 법률이 때문에 헷갈려하시는 분이 계시는 것 같아 오늘은 주휴수당 계산 방법과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는 2024 주휴수당계산기를 정리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비정규직 및 시간제 근로자분들을 위해 주휴수당 계산기의 최신 정보와 사용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변경된 주휴수당 계산기를 통해 여러분의 권리를 정확히 알고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24 주휴수당계산기
2024 주휴수당계산기

 

주휴수당 이란?

주휴수당은 일주일 동안 일정 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휴일 수당입니다. 2024년 기준으로는, 일주일 동안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수당입니다.

 

2024년 주요 변경 사항

  1. 주휴수당 산정 기준 시간 변경: 이전에는 주 15시간 이상 근로 시 주휴수당이 발생했으나, 2024년부터는 주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주휴수당이 지급됩니다. 이는 부분 시간 근로자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2. 주휴일의 법적 정의 강화: 주휴일을 법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권리로 명시하여, 근로자가 주휴일에 근무할 경우 추가 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 근거를 명확히 했습니다. 이전에는 일부 업체에서 주휴일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제는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됩니다.
  3. 연속 근로 요건 조정: 연속적인 근로 요건을 완화하여, 근로자가 불규칙적인 스케줄로 인해 주휴수당을 받지 못하는 경우를 줄였습니다. 이제는 주휴수당 산정 시, 근로일 수보다는 총 근로시간이 더 중요하게 고려됩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은

1.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근로시간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단, 휴게시간 제외)
2. 근로시간은 최대 40시간까지 인정 (그 이상의 경우 연장근로수당)
3.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일주일의 정해진 근로일 동안 모두 개근한 경우 (결근이 아닌 지각, 조퇴는 개근으로 인정)
4. 근로자라면 누구나 지급받을 권리

 

주휴수당 계산 방법

변경된 법률을 기준으로 주휴수당을 계산하면, 아래 같습니다.

주휴수당 = 일주일 총 근로시간 ÷ 5 × 시급

 

 

아래 주휴수당 계산기에 자신의 일주일간 총 근로시간(근로계약서 기준)과 시급을 입력하여 계산하시면 됩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1주일간 일한 총시간(최소 15시간):

시간

나의 시급은:

* 2024년도 최저임금은 9,860원입니다.

반응형